arrow

학부소개

학부현황

학부생 현황(재학생)

학년 학생 수 외국인 학생
1학년 98 5
2학년 64 6
3학년 73 8
4학년 82 5
합계 317 24

※ 2024. 08. 23 기준

교수진 현황

전임교수 겸임교수 명예교수 전임 외국인교수 전체
15 2 0 2 17

※ 2025. 03. 01 기준

교육 현황

부 교육의 경우는 융합학문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수학, 물리, 생물, 화학 분야가 비슷한 비중으로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이들 기초학문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공학(전기전자공학, 재료공학, 생물공학, 영상기기공학, 치료공학, 광학, 마이크로 공학, 나노공학 등) 원리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험실습을 매우 중요시하여 학부 3학년 1학기부터 실험실습을 통하여 모든 학생이 각 교수님 연구실에 해당하는 연구를 간접적이나마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할 수 있게끔 지도합니다. 더욱이 학부연구생의 기회를 통하여 확장된 형태의 교육역량과 연구역량을 배양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SCI 논문을 작성하여 게제할 기회를 제공, 졸업 역량을 확장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위하여 생물학 및 생체재료 실습실, 전자 및 광학 실습실이 갖추어져 있고 필요 시 각 교수님들의 연구용 장비 및 시설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대학원 교육의 경우는 교수님들의 연구실에 소속되어 해당 교수님의 세부전공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와 함께 생체의공학 공통 영역에 대한 심화학습이 공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 현황

생체의공학에 다양한 세부연구 분야가 있지만 바이오의공학부의 연구 분야는 특히 미래 융합의료기술의 핵심 분야라 할 수 있는 바이오칩(Biochip) 및 바이오인공장기(Bioartificial Organ), 나노생체재료(Nanobiomaterials), 바이오영상(Bioimaging),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 나노바이오포토닉스(Nanobiophotonics), 바이오전자(Bioelectronics) 분야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각 교수님들은 현재 매우 우수한 연구능력을 갖추고 있어 매년 일인당 적게는 5편에서 많게는 20편 정도의 SCI 논문을 책임저자로서 발표하였으며 향후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핵심원천기술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연구용 시설로 20평 규모의 마이크로 및 나노단위 실험을 위한 청정실(Clean room)을 비롯하여 세포생물학 실험실, 화학실험실, 광학실험실, 바이오전자 실험실이 갖추어져 있고 향후 실험실의 면적과 시설을 더욱 확충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