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연구
교과과정
교육목표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부는 첨단 의공학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기 위하여 의학과 기초과학 및 공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교과내규 [2022년 기준]
바이오의공학과의 교과목은 공통과목, 기초과목, 심화과목의 세 가지로 분류되어 있으며 각 대학원생은 학위취득을 위하여 다음의 조건을 반드시 충족시켜야 한다.
- 기초공통과목 중 일정한 개수의 과목을 수강하여야 한다. (석사과정 1개, 박사과정 2개, 석박사통합과정 2개)
- 단, 타과 전공과목은 지도교수와 학과주임교수의 승인을 받아 취득하는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한다.
- 단, 석사과정 중 기초공통과목을 이수하고 박사과정에 입학한 경우 해당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에 더하여 학위취득에 필요한 학점 중 본 학과에서 개설한 학점을 18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1. 기초공통 및 전공과목
(1). 기초공통과목
의학로테이션 | 공통공학실험 | 의공학콜로퀴움I | 의공학콜로퀴움II |
의공학콜로퀴움III | 의공학콜로퀴움IV | 고급광학이론 | 마이크로단위광학응용 |
플라즈모닉스 | 방사선검출및계측I | 의료영상시스템 | 패턴인식및기계학습 |
고급방사선물리학 | 의료영상소자학 | 수치해석 | 메디컬임플란트 |
생체조직및재생의학 | 의료용소재와생체적합성 | 나노의학개론 | 바이오메디컬스캐폴드공정 |
바이오칩 | 의료기기계측기술 | 마이크로제작기술 |
(2). 전공과목
광간섭영상 | 광-생체조직상호작용 | 바이오포토닉스 | 바이오포토닉스최신기술동향Ⅰ | 바이오포토닉스최신기술동향Ⅱ |
분자분광학 | 고급프로그래밍 | 계산뇌영상분석 | 단층영상알고리즘 | 방사선검출및계측II |
방사선치료계획학및실습 | 방사선치료물리학 | 방사선치료정도관리학및실습 | 암치료기술학 | 엑스선및감마영상개론 |
핵의학물리개론 | 입자치료학 | 고분자생체재료 | 생체재료분석기술 | 생체재료표면처리 |
암생물학 | 의공세포생물학 | 나노바이오최신연구동향 | 바이오메디컬3D프린팅기술 | 나노가공기술 |
미세유체이론및실제I | 미세유체이론및실제II | 생체나노분석 | 생화학분석시스템디자인 | 차세대생화학분석 |
의료기기제어기술 | 첨단의공학기술리뷰I | 첨단의공학기술리뷰II | 생분해성소재와응용 | 의공학프랙티컴I |
의공학프랙티컴II | 인공장기 |
(3). BK 21 과목
정밀보건과학개론 | 정밀보건과학 융합연구 방법론 I | 정밀보건과학 융합연구 방법론 II | 정밀보건과학 프랙티컴 I | 정밀보건과학 프랙티컴 II |
정밀보건과학 세미나 I | 정밀보건과학 세미나 II | 정밀보건과학 영양보건학 | 정밀보건과학 에너지대사 | 정밀보건과학 모험연구 |
2. 학점취득바이오의공학과 대학원생은 과정별로 일정한 학점이상을 학과내부의 과목으로 수강하여야 한다. 단, 의생명융합과학과, 보건과학과,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기술협동, IT융합학과, 글로벌헬스협동과정 및 정밀보건과학융합전공에서 수강한 과목은 지도교수의 승인을 거쳐 바이오의공학과 내의 기초공통과목 또는 전공과목 중에서 수강한 과목으로 인정하기로 한다. 각 과정별로 학위취득에 필요한 학점 및 학과내부에서 수강하여야 할 최소학점은 다음과 같다.
- 석사과정은 학위취득에 필요한 24학점 중 학과 내부에서 14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 박사과정은 학위취득에 필요한 30학점 중 학과 내부에서 18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 석박사통합과정 : 학위취득에 필요한 48학점 중 학과 내부에서 27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3. 학위취득자격
- 석사과정국내외 전문학술지 논문게재 또는 학술대회 발표(주저자만 인정) 1회 이상을 원칙으로 한다.
- 박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SCI(E) 논문을 2편 이상 주저자로 게재한다. (단 게재예정논문도 포함한다.)
4. 지도교수 지정과목입학 후 신입생 본인이 개강 전 지도교수와 면접을 통하여 학부과목 또는 대학원과목(박사과정의 경우)을 지정 받아 지도교수, 학과주임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지도교수가 지정한 교과목은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5. 대학원종합시험지도교수가 지정하고 학과주임의 승인을 얻어 아래와 같이 종합시험을 응시한다. 각 과정별로 종합시험을 위한 과목의 개수 및 요건은 다음과 같다.
- 석사과정: 기초공통 및 전공 중 2과목 (기초공통 1과목은 반드시 포함)
-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기초공통 및 전공 중 4과목 (기초공통 1과목은 반드시 포함)
- 종합시험 불합격자는 다음 학기에 과락과목을 응시할 수 있다.
- 단, 타과에서 인정받은 기초공통 및 전공과목은 대학원종합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 단, 의학로테이션, 공통공학실험, 의공학콜로퀴움I~IV 는 종합시험에서 제외한다.
6. 지도교수입학과 동시에 소속대학장은 학생의 의사를 참작하여 각 항에 따라 지도교수를 위촉한다.
- 지도교수: 위촉일 이전 3년간 SCI급 국제저명학술지나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비자연계)에 1편 이상 논문을 주저자 또는 교신저자로 게재한 본교 교원.
7. 경과규정
- 2013년 3월 1일 바이오융합공학과로 소속 변경된 보건과학과 학생들은 보건과학과 내규를 적용하며, 본인의 의사에 따라 바이오융합공학과 내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소속이 변경된 학생이 기 취득한 보건과학과 전공학점은 바이오융합공학과 전공학점으로 인정하며 석박사통합과정으로 전환한 경우는 바이오융합공학과의 필수 이수과목과 상관없이 졸업에 필요한 총학점을 이수하고 보건과학과의 박사과정 종합시험 규정을 적용하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 본 개정 내규 중 1. 이수교과목 3)항은 2015년 3월1일 입학자부터 적용한다.
- (경과조치) 본 개정 내규 중 5. 대학원종합시험은 2016년 9월 1일 입학자부터 적용하며, 2016년 3월 1일 이전 입학자는 지도교수와의 상담을 통하여 본 내규 혹은 개정 전 내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한다.
- (경과조치) 본 개정 내규 중 1. 이수교과목은 2013년 3월 1일 입학자부터 적용한다.
- 보건안전융합과학과 참여교수의 지도학생이 보건안전융합과학과 전공과목을 이수할 경우 바이오융합공학과(바이오의공학과)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 (경과조치) 본 개정 내규 중 2. 학점취득은 2021년 3월 1일 입학자부터 적용한다.
- (경과조치) 본 내규 혹은 개정 전 내규에서 기초(공통)과목으로 규정된 과목은 모든 내규에서 기초(공통)과목으로 인정한다.
기초공통
HBL601 | 고급광학이론(Advanced Optics Theory) [3] |
---|---|
HBL553 | 마이크로단위광학응용(Micron-Scale Optical Applications In Biology) [3] |
HBL712 | 플라즈모닉스(Plasmonics) [3] |
HBL713 | 방사선검출및계측Ⅰ(Radiation Detection And Measurement I)[3] |
HBL571 | 의료영상시스템(Medical Imaging System) [3] |
HBL556 | 패턴인식및기계학습(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3] |
HBL568 | 고급방사선물리학(Advanced Radiological Physics) [3] |
HBL559 | 의료영상소자학(Medical Imaging Devices) [3] |
HBL551 | 수치해석(Numerical Analysis) [3] |
HBL697 | 생체조직및재생의학(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3] |
HBL707 | 의료용소재와생체적합성(Biomedical Materials And Biocompatibility) [3] |
HBL705 | 나노의학개론(Introduction To Nanomedicine) [3] |
HBL710 | 바이오칩(Biochip) [3] |
HBL708 | 의료기기계측기술(Amplifier Design For Medical Instrumentation) [3] |
HBL691 | 마이크로제작기술(Microfabrication Technology) [3] |
HBL510 | 의공학콜로퀴움I(Biomedical Engineering Colloquium I) [3] |
HBL511 | 의공학콜로퀴움II(Biomedical Engineering Colloquium II) [3] |
HBL512 | 의공학콜로퀴움III(Biomedical Engineering Colloquium III) [3] |
HBL513 | 의공학콜로퀴움IV(Biomedical Engineering Colloquium IV) [3] |
HBL720 | 메디컬임플란트(Medical Implant) [3] |
HBL721 | 바이오메디컬스캐폴드공정(Biomedical Scaffold) [3] |
전공
HBL690 | 광간섭영상(Interferometric Imaging) [3] |
---|---|
HBL702 | 광-생체조직상호작용(LIGHT-TISSUE INTERACTION) [3] |
HBL687 | 바이오포토닉스최신기술동향I(Special Topics In Biophotonics Ⅰ) [3] |
HBL688 | 바이오포토닉스최신기술동향II(Special Topics In Biophotonics Ⅱ) [3] |
HBL711 | 분자분광학(Molecular Spectroscopy) [3] |
HBL552 | 고급프로그래밍(Advanced Computer Programming) [3] |
HBL555 | 계산뇌영상분석(Computational Neuroimage Analysis) [3] |
HBL576 | 단층영상알고리즘(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s) [3] |
HBL714 | 방사선검출및계측Ⅱ(Radiation Detection And Measurement II) [3] |
HBL689 | 사선치료계획학및실습(Treatment Planning Of Radiotherapy And Practice) [3] |
HBL574 | 방사선치료물리학(Radiation Therapy Physics) [3] |
HBL821 | 방사선치료정도관리학및실습(Quality Assurance Of Radiotherapy And Practice) [3] |
HBL575 | 암치료기술학(Cancer Therapy Technique) [3] |
HBL577 | 엑스선및감마영상개론(X-Ray And Gamma-Ray Imaging) [3] |
HBL715 | 핵의학물리개론(Introduction To Nuclear Medicine Physics) [3] |
HBL822 | 입자치료학(Particle Therapy) [3] |
HBL699 | 고분자생체재료(Polymers In Biomaterials) [3] |
HBL562 | 생체재료분석기술(Analysis Techniques For Biomaterials) [3] |
HBL698 | 생체재료표면처리(Surface Treatment Of Biomaterials) [3] |
HBL684 | 암생물학(Cancer Biology) [3] |
HBL686 | 나노바이오최신연구동향(Recent Advances In Nanobiotechnology) [3] |
HBL567 | 인공장기(Artificial Organs) [3] |
HBL695 | 나노가공기술(Nanofabrication) [3] |
HBL825 | 미세유체이론및실제Ⅰ(Microfluidics Theory And Application Ⅰ) [3] |
HBL826 | 미세유체이론및실제Ⅱ(Microfluidics Theory And Application Ⅱ) [3] |
HBL683 | 생체나노분석(Nanoscale Characterization Of Biomaterials) [3] |
HBL680 | 생화학분석시스템디자인(System Design For Biochemical Analysis) [3] |
HBL605 | 차세대생화학분석(Next Generation Biochemical Analysis) [3] |
HBL554 | 의료기기제어기술(Digital System Control For Medical Instrumentation) [3] |
HBL681 | 첨단의공학기술리뷰I(Review Of Edge Biomedical Technology Ⅰ) [3] |
HBL682 | 첨단의공학기술리뷰II(Review Of Edge Biomedical Technology Ⅱ) [3] |
HBL722 | 바이오포토닉스(Biophotonics) [3] |
HBL723 | 의공세포생물학(Biomedical cell biology) [3] |
HBL724 | 바이오메디컬 3D 프린팅 기술(Biomedical 3D Printing) [3] |
HBL725 | 생분해성 소재와 응용(Bioresorbable Materials and Applications) [3] |
HBL726 | 의공학프랙티컴Ⅰ(Biomedical Engineering Practicum I) [3] |
HBL727 | 의공학프랙티컴Ⅱ(Biomedical Engineering Practicum II) [3] |
모집요강
( ○ → 실시, X → 미실시, / → 미개설, ▲→ 모집안함 )
학사관리대학 | 학과 | 전공 | 석사학위과정 | 박사학위과정 | 석/박사 통합과정 | 비고 | |||
---|---|---|---|---|---|---|---|---|---|
구술시험 | 서류전형 | 구술시험 | 서류전형 | 구술시험 | 서류전형 | ||||
보건과학대학 | 바이오의공학 | 바이오의공학 | ○ | ○ | ○ | ○ | ○ | ○ |
전형방법
가. 서류전형과 구술시험으로 선발
나. 서류심사 평가 항목
- 석사 및 석·박사통합과정 : 학부 성적, 제출서류 및 학과에서 정하는 사항 등
- 박사학위과정 : 학부 및 석사과정 성적, 논문, 연구실적 및 학과에서 정하는 사항 등
다. 구술시험 평가 항목
- 석사 및 석·박사통합과정 : 연구계획, 지원 전공분야의 지식 및 학과에서 정하는 사항 등
- 박사학위과정 : 석사학위 논문발표, 연구계획, 전공분야 지식 및 학과에서 정하는 사항 등
라. 기타 사항
모집단위별, 학과별, 전공별 어떠한 경우라도 중복지원은 불가함. 다만, 석·박사통합과정 지원자는 동일학과/동일전공으로 석사과정에 복수지원(이하 복수지원자)할 수 있으며[단, 석사전공 중에 동일전공이 없는 경우 : 정치외교, 국제경영, 경제, 화학, 컴퓨터정보, 전자·정보공학과는 다른 전공을 선택하여야 함] 복수지원자가 석·박사통합과정 전형에서 불합격할 경우 추가 전형과정 없이 석사과정 지원자와 경쟁 (석사과정을 모집하지 않는 학과/전공은 복수지원 안됨)
(편입학 지원자는 복수지원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