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ow

학 부

교과과정

교육목표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부는 첨단 의공학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기 위하여 의학과 기초과학 및 공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 의공학 분야의 기술과 이론을 두루 갖춘 입체적 인재 양성
  • 다양한 기술의 융합 능력과 학제 간 협업 능력을 갖춘 창의적 전문가 양성
  • 임상의학 분야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고 세계적 신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글로벌 의공학인 양성

교육역량

핵심교육역량

구분 비율(%) 내용
1. 기초과학 40% 의공학 분야의 기초가 되는 물리, 화학, 생물 등의 기초과학교육
2. 의공학 기초 30% 기초과학을 바탕으로 의공학 분야의 원리 및 응용에 필요한 필수적인 공학기반 기초교육
3. 의공학 응용 30% 복합적 융합기술의 특성이 강한 의공학 분야의 실질적 응용 원리 교육

자율교육역량

구분 내용
1. 마이크로 기술 마이크로 기술을 이용한 바이오의료기기 원리 학습 및 실습
2. 나노기술 나노기술을 이용한 바이오의료기기 원리 학습 및 실습
3. 의광학 의료용 광학기기 원리 학습 및 실습
4. 생체재료 생체재료의 종류 및 인체와의 상호 작용 원리 학습 및 실습
5. 의료전자 의료용 전자기기 원리 학습 및 실습
6. 의료영상 의료용 영상기기 원리 학습 및 실습
7. 조직공학 조직 재생을 위한 생물학적 원리 학습 및 실습
8. 생체역학 신체 내부 현상에 대한 다양한 역학적 원리 학습 및 실습
9. 의학물리 의료용 진단기기 및 치료기기 원리 학습 및 실습
10. 융합기술 다양한 과학 및 공학 원리들의 생체의공학적 적용 방법 학습

바이오메디컬 디바이스

바이오메디컬 디바이스
  • 진단기기 : 혈압계, 혈당측정기, 심전도기기 등
  • 치료기기 : 인공심장, 인슐린 펌프, 신경 자극기 등
  • 모니터링 기기 :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환자 상태 지속 모니터링
  • 생체 신호 처리 : 생체 신호 수집, 분석, 데이터 해석

생체재료

아이콘01
  • 인체 적합성 재료 개발 및 연구

의료용 센서

아이콘02
  • 바이오 센서, 이미징 센서 등

의료 로봇공학

아이콘03
  • 수술 로봇, 재활 로봇 등

인공 장기 및 보철

아이콘04
  • 인공 심장, 의지 등

바이오메디컬 이미징

바이오메디컬 이미징
  • 의료영상 기기 개발 : MRI, CT, 초음파, X-ray, PET 등
  • 이미지 처리 및 분석 : 이미지 품질 개선, 병변 식별, 측정값 도출
  • 기능적 영상화 : 뇌 활동(fMRI) 및 조직 구조(DWI) 평가

분자 영상화

아이콘05
  • 세포 및 분자 수준 변화 시각화

영상 유도 치료

아이콘06
  • 실시간 영상으로 수술 및 방사선 치료 지원

인공지능 및 기계 학습

아이콘07
  • 영상 데이터 분석, 자동 진단 및 질병 예측

세포 및 조직 공학

세포 및 조직 공학
  • 조직공학
  • 세포 배양
  • 생체재료
  • 재료분석

세포 치료

아이콘08
  •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 치료 개발
  • 세포 이식 기술
  • 세포 치료제

바이오프린팅

아이콘09
  • 생체조직 및 장기 3D 프린팅

조직 모델링

아이콘10
  • 인체 조직 구조 모사

컴퓨터 생명공학

컴퓨터 생명공학

생체역학

아이콘11
  • 근골격계 모델링, 혈류 및 호흡 연구

생물정보학

아이콘12
  • 유전자 분석, 단백질 구조 및 상호작용 예측

생체 네트워크 및 시스템 생물학

아이콘13
  • 대사 경로 및 세포 간 신호 연구

편성교과목

핵심교육역량별 편성교과목

핵심교육역량 해당 교과목명
1. 기초과학 일반물리학및연습I, II 일반화학및연습 생명과학
미분적분학및연습I, II 유기화학 물리화학
생화학 의학물리 해부학
생리학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공학수학I, II 생체데이터과학 수치해석의생체응용
바이오메디컬통계학
2. 의공학 기초 의공학의이해 회로이론 전자회로
생체역학 생체유체역학 의공학프로그래밍
기초광학 의공학실험I 의공학실험II
의공학실험III 의료영상
3. 의공학 응용 의학영상처리 현대방사선치료학 신경및뇌공학
생체신호처리 생체정보계측 생체적합성
의료산업제도및기업분석 생체재료 바이오메디컬소재공정
의료기기와법제도 바이오포토닉스 생체정보학
바이오인공장기 바이오마이크로나노기기 바이오메디컬빅데이터
바이오메디컬인공지능Ⅰ 바이오메디컬인공지능Ⅱ 의공학프로젝트:캡스톤디자인Ⅰ, Ⅱ
바이오의공학현장실습Ⅰ, Ⅱ 의공학특강Ⅰ, Ⅱ 의공학 반도체 공정
바이오나노소재 전달 디지털시스템 생체전달시스템

전공과목 목록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시간 개설시기 선수과목
이론 실험(실습) 실기
전공필수
BMED202
공학수학II
3
3
0
0
2학기
공학수학I

생체 및 의료에 있어 여러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 수학적 문제 해석에 필수적이다. 본 과목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적 수학지식에 관해 심화된 학습을 목표로 한다.

전공선택
BMED205
공학수학I
3
3
0
0
1학기

생체 및 의료에 있어 여러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 수학적 문제 해석에 필수적이다. 본 과목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적 수학지식에 관해 심화된 학습을 목표로 한다.

전공선택
BMED208
생체유체역학
3
3
0
0
1학기

생체 내 혈액과 같은 유체의 흐름 및 역학에 대한 기본 지식에 대해 학습한다.

전공선택
BMED211
생체역학
3
3
0
0
2학기

인체, 조직, 세포 단계에서의 기계적 특성, 각 구성 요소간의 기계적인 상호작용과 관련된 다양한 첨단 연구 이슈들을 전통적인 기계역학이론을 기초로 강의한다.

전공선택
BMED212
기초광학
3
3
0
0
1학기

전통적인 광학 기초 이론 및 관련 방법론을 학습하여 바이오포토닉스 분야의 기초를 마련한다.

전공선택
BMED215
해부학
3
3
0
0
1학기

인체의 기본구조를 이해시키고, 인체의 각 세포, 조직, 기관 계통 등의 구조와 해부 명칭을 의학 진단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게 강의한다.

전공선택
BMED217
회로이론
3
3
0
0
1학기

전기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전기 회로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전공선택
BMED218
생리학
3
3
0
0
2학기
해부학

의학 진단 및 치료에 기초가 되는 인체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생체기능과 각 기관의 중요한 생리기전에 대하여 강의한다.

전공선택
BMED219
유기화학
3
3
0
0
1학기

생체재료를 비롯한 의공학 영역의 각종 화학 현상을 이해하고 연구개발하기 위하여 필요한 유기화학적 지식을 학습한다.

전공선택
BMED223
의공학프로그래밍
3
3
0
0
1학기

의공학 분야에서 필요한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기술을 학습하고, 이를 다양한 의공학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선택
BMED224
물리화학
3
3
0
0
2학기

바이오의공학 분야와 연관된 각종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현상의 이해에 필요한 물리화학 지식을 학습한다.

전공선택
BMED228
의공학의이해
3
3
0
0
1학기

본 과목은 의공학과에 입학한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의공학 전반에 대해서 학습하는 과목이다. 의공학의 역사, 원리 및 생체신호, 생체재료, 생체역학, 바이오센서, 의료영상, 의학물리 등 분야를 소개한다.

전공선택
BMED230
전자회로
3
3
0
0
2학기
회로이론

전자회로의 원리를 이해하고 주파수 특성, 집적회로 등을 구현하고 설계하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며, 이들의 생체 의공분야 응용에 대한 학습의 기초를 다진다. 반도체의 기본 속성을 기반으로하여 반도체 물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BJT, FET의 응용회로 설계 및 해석방법을 학습한다.

전공선택
BMED301
생화학
3
3
0
0
1학기

생체를 구성하고 있는 생화학 물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강의한다.

전공선택
BMED303
분자생물학
3
3
0
0
1학기

분자수준의 생물학적 현상들을 탐구하고 분자생물학 기술들에 대하여 학습한다.

전공선택
BMED306
세포생물학
3
3
0
0
2학기

세포의 일반적 특성과 세포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기능 및 기능 조절을 위한 신호전달 과정에 대하여 학습한다.

전공선택
BMED307
생체전달시스템
3
3
0
0
2학기

생체 시스템과 관련된 열 및 물질전달 현상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해석하기 위한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학습한다.

전공선택
BMED309
의료영상
3
3
0
0
2학기

다양한 의료용 영상(X선, 초음파, 자기공명, 핵의학검사 영상 등)의 획득 원리와 의료용 영상기기의 하드웨어에 대하여 학습한다.

전공선택
BMED311
생체신호처리
3
3
0
0
1학기

생체 신호처리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고 응용한다. 이를 위해 또한 생리학, 생물학적인 모델링과 분석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내용에 대해 교육한다.

전공선택
BMED312
생체정보계측
3
3
0
0
2학기
회로이론, 생체신호처리

기본적인 생체신호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측정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여러 생체 신호 계측기기 사용 실습을 통해 생체 신호 계측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을 배양할 수 있다.

전공선택
BMED313
생체재료
3
3
0
0
1학기

본 강의는 생체재료의 구조, 물리화학적 특성, 기계적 물성 및 생체 특성에 대해 소개한다.

전공선택
BMED318
의학영상처리
3
3
0
0
2학기

생체신호처리 이론을 기반으로 의학영상의 생성 및 처리에 관한 기본 알고리듬들을 학습하고, 의료영상에 대한 컴퓨터 실습 과제를 통하여 그 이해도를 높인다.

전공선택
BMED321
디지털시스템
3
3
0
0
1학기
전자회로, 회로이론

마이크로 프로세서, 논리회로 및 기타 디지털 시스템의 원리 및 설계에 관한 학습과 이들 기술의 생체의공학 분야 응용 학습

전공필수
BMED323
의공학실험Ⅰ
2
0
4
0
1학기
회로이론, 전자회로

본 교과목은 oscilloscope, function generator 등을 이용하여 전기회로 기초소자에 대한 이해를 위한 실험을 진행한다. 아날로그 회로에 대한 이론과 이를 응용한 실험이 포함된다.

전공선택
BMED325
생체데이터과학
3
3
0
0
1학기
의공학 프로그래밍

의공학 분야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표현하는 방식과 이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들을 배운다. 또한, 효율적인 바이오 메디컬 데이터 분석과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들을 학습함으로써 의공학부 상위 레벨의 과목들을 수강하기 위한 기초를 다진다

전공필수
BMED326
의공학실험Ⅱ
2
0
4
0
2학기
생체재료

의공학에서 자주 접하는 생물학 및 생화학적인 실험과 함께 각종 생체 재료의 간단한 제조 방법 및 특성 분석 방법을 학습한다.

전공선택
BMED328
수치해석의생체응용
3
3
0
0
1학기

세포, 조직 및 장기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생체의공학적 현상에 대한 지배방정식을 유도하고 그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을 통한 결과의 예측을 통해 생체현상에 대한 이해도를 고취한다.

전공필수
BMED329
의공학실험Ⅲ
2
0
4
0
1학기
기초광학, 의료영상

본 교과목에서는 각종 의료영상 기법 대해서 실험실습 통해서 학습을 한다. 광학 및 x선CT, 초음파, MRI, 핵의학 감마 영상기법을 각종 실험을 통해서 익힌다.

전공선택
BMED330
바이오메디컬소재공정
3
3
0
0
2학기

본 강의는 바이오메디컬 소재 (금속, 세라믹,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제조공정 및 최신 3D 프린팅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전공선택
BMED332
생체정보학
3
3
0
0
1학기

Human genome project나 DNA chip 등에 대한 소개와 함께 현재 사용되는 생물정보학의 기술에 대한 소개를 하고, 생물학 뿐만이 아닌 전산학과 통계학 등 수리과학과 연계된 학제간 융합 지식을 강의한다.

전공선택
BMED334
의학물리
3
3
0
0
2학기

의학물리학 분야에 필요한 기초 양자역학, 핵물리학, 방사선의학물리학 및 계측학, 방사선 방호 등에 대해 강의한다.

전공선택
BMED336
바이오메디컬빅데이터
3
2
2
0
2학기

본 교과목은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전공선택
BMED403
바이오포토닉스
3
3
0
0
1학기
기초광학

생체조직을 물리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미경을 비롯한 광학영상 기법. 형광, 라만 등 분자영상의 종류와 활용 분야 및 레이저 치료와 관련된 기본 메카니즘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를 높인다.

전공선택
BMED404
신경및뇌공학
3
3
0
0
2학기

신경 및 뇌의 기능을 공학적으로 구현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기본 개념 및 그 응용 예를 공부함을 목표로 한다.

전공선택
BMED415
바이오 나노소재 전달
3
3
0
0
1학기

바이오 나노소재의 기본 개념을 원자단위 부터 이해하고, 바이오 맴브레인, 물질 전달을 열역학 기반으로 심화학습하고, 이를 이용한 응용을 공부한다.

전공선택
BMED419
생체적합성
3
3
0
0
1학기

생체재료-인체 상호작용의 이해에 필요한 기본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체재료-인체 상호작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전공선택
BMED420
바이오메디컬통계학
3
3
0
0
2학기

의공학에서 사용되는 통계 및 확률 개념을 습득하고, 데이터 수집, 처리, 분석 및 평가하는 데 필요한 통계기법을 습득한다. 주된 내용은 일반통계부문에서 평균치와 산포도, 정규분포 등과 추정법, 분산분석, 상관 및 회귀분석법을 포함한다.

전공선택
BMED422
바이오인공장기
3
3
0
0
2학기

본 강의는 조직공학과 재생의학의 기본 개념과 각종 응용에 대해 소개한다.

전공선택
BMED423
현대방사선치료학
3
3
0
0
1학기
의학물리

방사선 치료기기, 방사선 종양학, 현대방사선치료학, 방사선 치료계획학 등에 대해 학습한다.

전공선택
BMED424
의공학특강Ⅱ
1
1
0
0
2학기

바이오의공학부 교수님들이 활동하고 있는 연구 영역에 대한 전문적인 강의를 듣는다.
의공학 연구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의공학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향후 진로에 대해서 모색한다.

전공선택
BMED429
바이오마이크로 나노기기
3
3
0
0
1학기
생체정보계측

본 과목은 새로운 융합 학문인 바이오마이크로나노기술/기기에 대한 소개이다. 마이크로 나노 단위에서의 물리학적 그리고 화학적 특이 현상을 공부하고 기기 제작의 방법, 재료 등에 대한 전반 적인 이해와 전자기계적 응용을 통한 의공학 문제 해결의 방법을 배운다.

전공선택
BMED431
의공학특강Ⅰ
1
1
0
0
1학기

바이오의공학부 교수님들이 활동하고 있는 연구 영역에 대한 전문적인 강의를 듣는다.
의공학 연구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의공학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향후 진로에 대해서 모색한다.

전공선택
BMED432
의료기기법제도와기술사업화
3
3
0
0
1학기

의료기기가 개발자의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부의 규제시스템에서 인허가를 획득해야만 사회 속에서 사용될 수 있음. 의료기기에 적용되는 규제체계를 학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원활한 개발 및 인허가, 사업화를 위한 준비하고자 함

전공선택
BMED433
의공학프로젝트: 캡스톤디자인Ⅰ
3
2
2
0
1학기

학생이 바이오의공학부 또는 타학과의 관심분야 연구실을 탐방한 후, 해당 연구실의 교수님과 상의하여 적합한 프로젝트 목표를 설정하고, 학부 교과목의 지식 기반 하에 프로젝트를 수행토록 함으로써 응용 기술을 익힌다. 프로젝트의 결과는 학기 말에 공개 석상에서 발표

전공선택
BMED434
의공학프로젝트: 캡스톤디자인Ⅱ
3
2
2
0
2학기

학생이 바이오의공학부 또는 타학과의 관심분야 연구실을 탐방한 후, 해당 연구실의 교수님과 상의하여 적합한 프로젝트 목표를 설정하고, 학부 교과목의 지식 기반 하에 프로젝트를 수행토록 함으로써 응용 기술을 익힌다. 프로젝트의 결과는 학기 말에 공개 석상에서 발표

전공선택
BMED435
바이오메디컬인공지능Ⅰ
3
3
0
0
1학기

본 교과목은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 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 내용을 강의한다.

전공선택
BMED436
의료로봇
3
3
0
0
2학기
공학수학Ⅱ

약 20년 전에 개발되어 현재 세계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대표적인 수술로봇인 da Vinci와 대표적 재활로봇인 Lokomat의 기본 구조와 기능들을 살펴보고, 그 중 의료로봇에서 용도별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특징적인 설계와 기본 제어 기법을 공부한다.

전공선택
BMED438
바이오메디컬인공지능Ⅱ
3
2
2
0
2학기

본 교과목은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 방법과 실습에 대해 소개한다.

전공선택
BMED440
의료산업및비즈니스모델
3
3
0
0
2학기

TBA

전공선택
BMED442
의공학 반도체 공정
3
3
0
0
2학기
회로이론, 전자회로, 바이오마이크로나노기기

반도체 공정을 기반으로하여 의공학 분야에 Biochip을 설계하기 위한 공정적인 접근 방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인재를 배양한다. 선행학습으로서는 회로이론, 전자회로, 마이크로나노기기 수업이 있다. 회로이론 수업을 통해 KCL, KVL 기반의 지식을 기반으로 회로내 선형 소자의 해석방법을 공부한다. 전자회로 수업을 통해 BJT,FET의 비선형적 소자를 이용한 회로 해석방법을 습득한다. 마이크로나노기기 수업을 통해 반도체 기술을 공정과 이론에 대한 수업을 이수한다. 의공학 분야를 기준으로 해석하면, 생체칩, 바이오칩의 광전기적 응용이 가능한 형태의 칩을 디자인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공정기술을 습득한다. 이는 반도체 기술 전반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향후 의공학기반의 바이오칩기술 개발의 근간이 될 것이다.

전공선택
COOP
현장 실습
12
0
0
0
2학기

본 과목을 통해 미래 현장에서의 업무를 대비하여 이론적 지식을 실천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실습교육 과목이다. 본 교과목의 목표는 아래와 같다.
1. 의공학 분야에 적용하는 이론적 지식을 실천 현장에 적용한다.
2. 전공(관심)분야 실천적 기술과 사회생활 대하여 경험한다.

교육과정표

내용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시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교양필수 학문세계의탐구 GELI005 학문세계의탐구Ⅰ 3(3) 2024학년도 이후 입학한 외국인 학부생은 GELI007 학문세계의탐구Ⅰ(외국인반),글쓰기 (외국인반) 이수
글쓰기 GEWR002 글쓰기 3(3)
Academic English IFLS800 Academic EnglishⅠ 2(2) 신입생 영어능력평가고사 결과 '고급'레벨 취득 학생은 이수 면제
1학년세미나 GEKS007 [진로‧창업]1학년세미나Ⅰ 1(1)
GEKS008 [진로‧창업]1학년세미나Ⅱ 1(1)
Digital & SW GECT002 [진로·창업]SW프로그래밍의기초 3(3)
GECT003 [진로·창업]데이터과학과인공지능 3(3)
BT GEBT001 [진로·창업]생명과학의세계 3(3)
소 계 19
교양선택 교양선택(기초과학) CHEM150 일반화학및연습 3(3)
CHEM155 일반화학실험 1(3)
PHYS151, 152 일반물리학및연습 I, II 6(6)
PHYS161, 162 일반물리학실험 I, II 2(6)
MATH161, 162 미적분학및연습 I, II 6(6)
LIBS150 생명과학 3(3)
기본전공 필 수 5
선 택 37
42
심화전공 필 수 -
선 택 36
36
일반선택 교양 및 전공학점을 이수한 후 130학점을 충족하기 위한 나머지 학점
졸 업 요 구
총 이 수 학 점
130
비 고 1) 외국인 학부생 학사관리에 관한 시행세칙’ 제7조에 따라 2017학년도 2학기 이후에 입학한 외국인 학부생은 외국어강의 이수, 공인외국어 인증, 공인한국어 인증, 공인한자이해능력 인증 제출을 면제함.

다전공 이수지정 과목표

전공구분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선수과목 비고
이중전공 전공필수 5학점, 전공선택 40학점 이상 이수
복수전공 전공필수 5학점, 전공선택 66학점 이상 이수
학사편입 전공필수 5학점, 전공선택 66학점 이상 이수